2025년 하반기부터 정부는 소상공인을 위한 부담경감 크레딧 지원사업을 시행합니다. 전기요금, 수도요금, 4대 보험료 등 고정 지출을 줄여주는 디지털 방식의 간접지원으로, 온라인 신청만으로 최대 50만 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이란?
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디지털 크레딧(정부 포인트)을 지급해, 지정된 공공요금 및 사회보험료 결제 시 해당 금액을 자동 차감해주는 제도입니다. 사용처는 제한되어 있지만, 사업 운영에 실제로 부담이 되는 지출 항목에 집중된다는 점에서 실효성이 매우 높습니다.
지원 대상 및 주요 조건
- 연 매출 3억 원 이하 (최근 1년 기준)
- 2025년 5월 1일 이전 개업한 개인·법인 사업자
- 정상 영업 중이어야 하며, 휴업·폐업 사업장은 제외
- 정책 제외 업종(유흥, 도박, 사행성 등)은 신청 불가
※ 2025년 신규 창업자도 8월부터 별도 신청이 가능하니, 일정 확인은 필수입니다.
신청 기간과 요일제 운영 안내
이번 크레딧 신청은 혼잡을 방지하기 위해 5부제 방식이 적용됩니다. 신청 첫 주에는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에 따라 요일별 접수가 제한되며, 그 이후엔 누구나 자유롭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.
지원 방식 및 사용처
- 총 9개 카드사 중 하나 선택 후 해당 카드에 크레딧 등록
- 사용 시 자동 차감 방식 (별도 인증 필요 없음)
- 포인트는 2025년 12월 31일까지 유효
사용 가능한 항목:
- 전기요금, 도시가스, 수도요금 등 공공요금
- 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, 산재보험
예시:
공과금 40만 원 결제 시 → 40만 원 전액 자동 차감
공과금 60만 원 → 50만 원 크레딧 차감, 나머지 10만 원은 본인 부담
신청 절차 및 방법
- 부담경감크레딧.kr 또는 소상공인24.kr 접속
- 공동인증서 또는 휴대폰 본인인증
- 사업자 정보 및 카드사 선택
- 신청 완료 후 문자 또는 알림톡 수신
※ 국세청 매출 연동으로 자동 심사되며, 매출 신고 이력이 없는 경우엔 매출전표 등 추가 자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
주의사항 및 꿀팁
- 카드사 선택 후 변경 불가
- 일반 소비에는 사용할 수 없음
- 다른 디지털 포인트 지원과 중복 수령 불가
-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 가능성 있음
신청 팁:
- 신청 초기 5부제 대상이라면 반드시 해당 요일에 접수
- 카드 미보유자는 사전 선불카드 발급 추천
- 문자 수신 후 실제 크레딧 등록 여부 확인 필수
마무리
2025년 하반기, 정부의 직접 지원 없이도 고정 지출을 줄이는 현실적인 방법이 바로 부담경감 크레딧입니다.
지금 바로 신청해서 최대 50만 원 크레딧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.